PHYSICAL THERAPY

뉴만 키네시올로지 - 위팔자관절과 위팔노관절

라움필라테스 2025. 4. 15. 18:44
반응형

안녕하세요 라움필라테스입니다.

팔꿈치와 아래팔 복합체의 뼈 구조에 이어

오늘은 관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뉴만

 

팔꿈치는 위팔자관절과 위팔노관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팔자관절에서 도르래와 도르래패임 사이의 견고한 결합은

팔꿈치의 구조적 안정성에 도움을 줍니다.

초기 해부학자들은

팔꿈치에서 굼힘과 폄이 우세하게 나타나

"경첩관절"로 분류했지만,

굽힘과 폄운동 시 노뼈에서

작은 양의 축돌림과 좌.우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정된 경첩관절"로 분류됩니다.

출처 - 뉴만

위팔뼈 하부의 구조를 보면

도르래의 위치가 평행하지 않은데,

도르래에서의 비대칭성 때문에

위팔뼈에 대해 자뼈는

가 쪽으로 편위 된 형상을 띄게 됩니다.

이러한 자연적인 팔꿈치의 각도를

"정상적 밖굽이 팔꿈치" 또는 "운반각" 이라고 부릅니다.

건강한 사람들의 밖굽이 팔꿈치 각도는

평균적으로 13도 정도이며

표준편차는 6도 정도를 보입니다.

평균적으로 여성들이 남성보다

약 2도 정도 더 큰 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별에 관계없이 밖굽이 각도는

우세팔에 더 크게 나타납니다.

과도한 밖굽이 팔꿈치는

자신경을 과신장시켜 신경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팔꿈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수동 가동 범위"는

5도의 폄부터 145도의 굽힘까지입니다.

하지만 일상생활 동작들은

30~130도 사이의 굽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적 범위"사용하게 됩니다.

팔꿉관절은 무릎관절과 다르게

운동의 맨 끝 범위가 상실되어도

기능적인 장애는 거의 없습니다.


위팔자관절의 운동 형상학

출처 - 뉴만

 

위팔자관절은 오목한 자뼈의 도르래패임과

볼록한 위팔뼈의 도르래 사이에서 형성된 관절입니다.

출처 - ATLAS 위팔자관절 팔꿈치굽힘 폄
 
 

 

위팔자관절에서 굽힘 동안

자뼈 도르래 패임의 오목한 관절면은

볼록한 위팔뼈 도르래에 대해

"구르기""미끄러짐"을 합니다.

팔꿈치의 완전한 굽힘은

뒤 관절 주머니, 폄근육들, 자신경, 곁인대의

신장성이 요구됩니다.


위팔노관절의 운동 형상학

출처 - 뉴만

위팔노관절은 컵 모양의 노뼈머리오목과

둥근 모양의 위팔뼈 작은 머리 사이에서 형성된 관절입니다.

출처 - ATLAS 위팔노관절의 굽힘 폄

굽힘과 폄 동안 볼록한 위팔뼈 작은머리에 대해

노뼈머리오목이

"구르기""미끄러짐"을 합니다.

능동 굽힘 동안

노뼈머리오목은 근육의 수축에 의해

작은머리 쪽으로 당겨집니다.

위팔자관절과 비교했을 때,

위팔노관절은 팔꿈치에 대한

시상면상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정도는 적지만

팔꿈치에 가해지는

밖굽이를 생산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의 약 50%를 제공합니다.

라움필라테스는

모든 강사진이 물리치료사

구성되어 있어,

운동하실 때 불편한 점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에 대해서

언제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