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HERAPY

뉴만 키네시올로지 - 복장빗장관절

라움필라테스 2025. 4. 2. 14: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라움필라테스입니다.

 

 

어제 어깨 복합체의 뼈 구조에 이어

 

오늘은 뼈들이 연결되는 관절과

각 관절에서 일어나는 동작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구조를 보기 전

다시 전체 뼈 구조를 보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출처-ATLAS

 

 

오른쪽부터

복장뼈, 빗장뼈, 어깨뼈, 위팔뼈 순으로 나열이 되어있는데요.

여기서 복장뼈와 빗장뼈를 이어주는 관절을

복장빗장관절(sternoclavicular joint) 이라고 합니다.

 

출처-ATLAS

빗장뼈의 한쪽 끝,

복장뼈, 첫 번째 갈비뼈 연골의 모서리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의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몸통 뼈대과 멀리 있는

팔 뼈대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단하게 부착되어야 하지만

어깨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충분한 가동 범위 또한 나와야 합니다.

빗장뼈는 3개의 기본적인

운동면에서(시상면, 이마면, 수평면) 중

하나의 운동면과 연관되어 동작이 일어납니다.

복장빗장관절에서

일어나는 첫 번째 동작은 올림/ 내림입니다.

이마면에 평행하게 일어나고

최대 45도 올림 최대 10도 내림이 가능합니다.

 

출처 -뉴만

 

 

 

출처- ATLAS - 정면에서 바라본 어깨 올림과 내림
 

어깨를 으쓱하며

"어깨와 귀가 가까워지는 동작""올림"이고

목과 어깨 사이에

주먹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며

"어깨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동작" "내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평소에 가슴 상부로

호흡을 많이 하시는 분들이

어깨가 정상 범위보다 올라가

으쓱하는 자세를 취한 경우가 많으며, 목통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필라테스에서 강조하는

흉곽과 복부를 같이 사용하는 몸통 호흡법을 통해

 

 

닫혀있던 흉곽을 확장시키고

가슴과 목으로만 했던 호흡을

교정하며 어깨를 끌어내려주는 동작들을 반복하면

 

목의 불편함들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운동은 내밈과 뒤당김입니다.

수평면에 평행하게 일어나고 운동 범위는 각각 최대 15~30도 정도로 일어납니다.

 
출처 - 뉴만

 

내밈과 뒤당김은

등 운동과 연관 지어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네 발기기 자세에서 양손을 바닥에 짚고,

"바닥을 눌러 등을 부풀려주는 자세""내밈"입니다.

 

반대로 똑같이 팔은 편 상태에서

부풀린 등을 원래 자세로 돌리고

"견갑 사이를 모아주는 자세""뒤당김"입니다.

 

마찬가지로 평소 생활습관에 의해

견갑골의 위치가 너무 멀어졌거나,

너무 모아져있는 체형인 분들은

등, 어깨에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몸통 호흡과 함께 흉곽을 충분히 늘려주고,

내밈/뒤당김 동작과  연관된 운동을 진행하여

전거근이라는 어깨 안정화근육을 활성화시켜주면

등, 어깨의 불편함도 함께 줄여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빗장뼈에서는

축돌림이라는 동작이 일어나는데

어깨뼈의 벌림이나 굽힘 동작 시

빗장뼈는 뒤쪽으로 20~35도 회전이 일어납니다.

올라가있던 팔이 돌아옴에 따라,

빗장뼈는 원래 위치로 다시 회전하며 돌아갑니다.

 

축돌림은 어깨가 안정화된 상태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라움필라테스는

모든 강사진이 물리치료사

구성되어 있어,

운동하실 때 불편한 점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에 대해서

언제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