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HERAPY

뉴만 키네시올로지 - 봉우리빗장관절

라움필라테스 2025. 4. 3. 08:52
반응형

안녕하세요 라움필라테스입니다.

오늘은 복장빗장관절에 이어

봉우리빗장관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복장빗장관절은 이름처럼

복장뼈와 빗장뼈가 이어진 관절이었는데,

이번 봉우리빗장관절은

빗장뼈와 어깨뼈(견갑골)의

봉우리 부위가 이어진 관절입니다.

 
 

 

어깨뼈 후면의 가시(spine)을

따라 어깨 외측으로 이어져 나온

봉우리(acromion)와 빗장뼈(clavicle)의

끝 부위가 만나 관절을 이루고

각 뼈의 이름을 따서 "봉우리빗장관절"(acromioclavicular joint)라고 합니다.

출처-ATLAS
 
출처-ATLAS

 

 

봉우리빗장관절에서는

복장빗장관절과는 다르게

조금 더 미세한 움직임들을 나타냅니다.

첫 번째로 위쪽 돌림과 아래쪽 돌림이라는

어깨뼈의 회전운동이 일어납니다.

 

"위쪽 돌림"

빗장뼈의 가 쪽 끝에서

어깨뼈가 위쪽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일어나는 동작을 말합니다.

 

어깨의 벌림과 굽힘 자세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움직임이고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릴 때 봉우리빗장관절에서

위쪽 돌림은 30도까지 일어납니다!

"아래쪽 돌림"

어깨뼈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말하고

어깨의 모음 또는 폄자세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움직임입니다.

 

출처 - ATLAS 90도 어깨벌림시 위쪽 돌림(전면) (후면)
 

 

 

 

 

출처 - ATLAS 어깨모음시 아래쪽 돌림(전면) (후면)
 
 

 

출처 - 뉴만

 

 

 

어깨를 옆으로 벌려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과정에서

팔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B 그림처럼 복장빗장관절에서

빗장뼈의 올림 움직임이 일어나야 하고,

C 그림처럼 봉우리빗장관절에서의

위쪽 돌림 운동도 함께 일어나줘야

 

180도의 각도로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출처 - 뉴만

두 번째로 봉우리빗장관절에서

돌림성 조절 운동이 일어납니다.

위쪽 돌림/아래쪽 돌림과는 다르게

어깨뼈(견갑골)와 가슴우리(흉곽)에서의

미세한 돌림 운동이 일어납니다.

어깨뼈의 안쪽 모서리 부분에서

안쪽 돌림과 가족 돌림이 일어나는데,

그림 B처럼 가슴우리에서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멀어지는 움직임을 "안쪽 돌림"

다시 가까워져 원상태로

돌아오면 "가족 돌림"이라고 합니다.

 

그림 C처럼 가슴우리의 모습에 따라

어깨뼈 앞면이 기울어진 움직임을

"앞 기울임"이라고 하고

원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뒤 기울임"이라고 합니다.

 

 

돌림성 조절 운동은

정말 작은 움직임으로 일어나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어깨 움직임에 질과 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움직임의 질적인 면에서 본다면,

어깨뼈의 내밈동안

봉우리빗장관절은

약간의 안쪽 돌림을 합니다.

어깨뼈의 올림 동안

가슴우리 윤곽에 맞춰

약간 앞 기울임을 합니다.

정말 작은 움직임이지만

이러한 움직임들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빗장뼈의 운동 경로를 그대로 따라야 하기 때문에

어깨뼈는 가슴우리의 모양안에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가슴우리의 모양에서 벗어나

부자연스러운 방향으로 이탈할 것입니다.

 

어깨 벌림 또는 굽힘 동작에서

각도가 부족하거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면

어깨 위팔 관절에서의 각도뿐만 아니라

봉우리빗장관절, 복장빗장관절, 어깨가슴관절

각도 등 다양한 면에서 확인해줘야 합니다.

라움필라테스는

모든 강사진이 물리치료사

구성되어 있어,

운동하실 때 불편한 점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에 대해서

언제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반응형